
2025년 2월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로운 트럼프 보호무역 정책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큰 파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이 이 정책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으며, 관세 인상과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적용으로 인해 무역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의 최신 보호무역 정책이 한국 및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1. 트럼프 보호무역과 새로운 관세 정책
2025년 2월 1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산업 보호 및 무역 적자 해소”를 목표로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후 2월 27일 발표에서는 중국 제조 수입품에 대해 추가 10% 관세를 부과하여 총 관세율을 20%로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정책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캐나다산 비에너지 수입품 및 멕시코산 모든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2025년 3월 4일부터 시행)
- 캐나다산 에너지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 적용
- 중국산 제조 수입품에 대해 총 20% 관세 부과 (2025년 2월 27일 발표, 3월 4일부터 추가 10% 관세 적용)
-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 (2025년 2월 10~11일 발표)
- 반도체 제품에 대해 25%에서 시작하여 1년 내 최대 100%까지 인상 가능성 (2025년 2월 26일 발표)
- 상호무역과 관세(Reciprocal Trade and Tariffs) 정책 도입 (2025년 2월 13일 발표)
- 자동차, 의약품,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검토 (2025년 2월 19일 발표)

관련 트럼프 “3월4일부터 중국 10% 추가 관세…캐나다·멕시코도 예정대로”
2. 트럼프 관세 정책의 구체적인 시행 일정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보호무역 조치를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입니다. 주요 시행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2월 4일: 캐나다 및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개시 (단, 30일 유예 적용)
- 2025년 2월 10~11일: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대통령 포고문 발표
- 2025년 2월 13일: 상호무역과 관세(Reciprocal Trade and Tariffs) 대통령 각서 발표
- 2025년 2월 19일: 자동차, 의약품,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여부 발표 예정
- 2025년 2월 24일: 캐나다 및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관세 시행 확정 발표
- 2025년 2월 26일: 반도체 관세 25%에서 시작해 최대 100%까지 인상 가능성 언급
- 2025년 2월 27일: 중국 제조 수입품에 대한 총 20% 관세 적용 발표 (기존 10% + 추가 10%)
관련 뉴스 : 中, 트럼프 10% 추가 관세 위협에 “모든 보복 조치 동원”
3. 관세 정책의 경제적 영향
골드만삭스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의 무역제재로 인해 2025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0.7%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중국 경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무역시장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4. 한국 경제에 대한 영향

나라경제 : 트럼프 2기 한국경제의 살길은? 발췌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이 최악의 시나리오로 전개될 경우 한국의 수출이 최대 448억 달러 감소하고 실질 GDP가 0.29%~0.69%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요 산업별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동차 산업
- 멕시코 생산기지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이 25% 관세 부과로 인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 반도체 산업
-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전쟁으로 인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수출 환경이 더욱 불안정해질 가능성
- 배터리 산업
- 미국의 핵심광물 공급망 재편으로 인해 한국 기업들의 원자재 확보 비용 증가
5. 해운산업과 물류 변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로 인해 해운업과 글로벌 물류 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 북미 내륙 물류 강화
- 미국 내 생산 확대 및 현지 공급망 구축으로 인해 아시아에서 미국으로의 해상 운송 비중이 감소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아세안 및 인도를 통한 우회 운송 증가
-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면서, 동남아 및 인도를 거쳐 우회 수출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6. 최신 동향 반영 (2025년 3월 1일 기준)
- 2025년 2월 10일부터 중국이 석유·LNG 등 일부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발표하며 대응에 나섰습니다.
- 2025년 3월 1일,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이 미국 상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한국 기업들에 대한 관세 면제를 요청했습니다.
- 2025년 3월 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미국의 관세 인상과 국내 정치 불안정성을 이유로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6%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2025년 2월 한국의 수출 성장률이 1.0% 증가에 그쳤으며, 대중국 수출은 1.4% 감소했습니다.
-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에 맞서 대미 보복 관세를 준비하고 있으며, 미국 기업들의 중국 내 사업 환경도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7.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은 글로벌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이러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변화하는 무역 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 앞으로 지속적인 정책 변화에 주목하며, 유연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추천 글 : 2025년 한국 경제 전망: 도전과 기회의 해